목록일상 (29)
BTS Homeland

직장 근처 지하철역에 스마트도서관이 생겼습니다. 오며 가며 며칠 쳐다만 보다 한번 이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구립도서관 회원증을 만들어야 하는 건가 귀찮은데...' 생각하면서 다시 구립도서관 회원가입을 하려고 했더니 이미 가입되어 있는 책 이음 서비스로 바로 이용할 수가 있더라고요!! 책이음 서비스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책이음 서비스는 기존 가입된 공공도서관 회원증 한장으로 전국 어디서든 책이음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에서 도서대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근처 도서관회원으로 가입할 때 책이음회원으로 가입하면 책이음에 참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는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없이 도서관자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스마트도서관이 다 책 이음 서비스가 되는 것은 아닐수도 있겠지만.....

코로나 19 사태로 헌혈량이 크게 줄어든 반면 혈액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어 혈액보유량이 많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보건복지부는 혈액수급위기단계를 총 4단계로 구분해서 관심(혈액수급 부족 징후, 5일분 미만), 주의(혈액수급 부분적 부족, 3일분 미만), 경계(혈액수급 부족 지속, 2일분 미만), 심각(혈액수급 부족 규모 확대, 1일분 미만)으로 분류하는데 지난달 혈액형별 혈액보유현황이 평균 2.7일분으로 '주의'단계까지 내려가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헌혈 독려를 위한 범부처 협조 방안과 대국민 홍보 대책 등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에서는 채혈 장소와 기기를 수시로 소독하고 있으며 채혈 직원들은 KF-94 마스크를 착용하고 헌혈자 접촉 시마다 손 소독을 하는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펭수의 날'이라는 기사가 있어서 자이언트 펭 캐릭터 데뷔일인가 했더니 진짜로 '세계 펭귄의 날'이라고 하네요 ㅎㅎ 미국 맥머도(McMurdo) 남극관측기지에서 지구온난화와 서식지 파괴로 사라져 가는 펭귄을 보호하기 위해 남극 펭귄이 북쪽으로 이동하는 시기에 맞춰 매년 4월 25일을 기념일로 정했다고 합니다. '세계 펭귄의 날(25일)'을 기념해 국립생태원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세상의 모든 펭귄전'을 4월 25일부터 내년 3월 30일까지 개최한다고 합니다. '세상의 모든 펭귄전'은 60개의 연탄 위에 전 세계 펭귄을 세워놓은 '펭귄 타워', 펭귄 모양으로 만든 '눈꽃송이 모빌' 등 그린디자이너 이지영 작가의 독특한 작품을 통해 지구온난화와 서식처 파괴 등으로 생존을 위협받는 펭귄..

코로나 19가 확산되며 정부와 의료기관, 지자체 등의 활동도 어느 때보다 중요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을 텐데요, 이런 중요한 국가비상사태의 기록들은 어떻게 남겨지고 있을까 궁금하던 차에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재난아카이브를 운영한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16일부터 웹사이트 '오아시스'(www.oasis.go.kr)의 재난 아카이브에서 코로나 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디지털 정보 자원을 수집해 기록으로 남기는 웹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아시스’는 ‘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의 준말로, 국립중앙도서관은 오아시스를 통해 2004년부터 디지털 정보자원을 수집·보존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정부와 ..

대면접촉으로 번지고 있는 코로나 19에 대한 뉴스를 접하다가 팬데믹(Pandemic)이라는 단어가 기사에 자꾸 등장하길래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 홈페이지에 가니 팬더믹 플루와 일반 감기를 잘 정리해 알려주고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아무래도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는 팬데믹 상태(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ㅠㅠ Pandemic Flu vs. Seasonal Flu (팬데믹 플루와 계절성 독감의 차이) 1.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 가? - 계절성 독감(Seasonal Flu): 매년 발생하며 12월에서 2월 사이 주로 발생 - 팬데믹 플루(Pandemic Flu): 드물게 발생함(20세기에는 3차례 발생) 2. 대부분의 사람에게 면역력이 있는가? - 계절성 독감(Se..